May 02 - May 12, 2025

 

햇살을 안고 달빛을 거닐다

김명진 & 조상은

 

Location : ARTBODA gallery

Introduction

아트보다 기획초대전

.

Artist

Artist story about



기획의 글/


〈햇살을 안고 달빛을 거닐다〉는 조상은, 김명진 두 작가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빛’과 ‘달’을 매개로 삶과 존재, 감정의 여정을 그려내는 2인 전시다.

조상은 작가는 회화 속에 존재론적인 빛의 흐름과 역동성을 담아낸다. 삶의 생성과 소멸, 찰나의 순간들이 겹겹이 쌓인 화면 위에서 생명의 에너지는 찬란한 빛으로 피어난다. 빛은 단순한 시각적 요소를 넘어 사유와 성찰의 공간으로 확장되며, 작가는 그 빛을 통해 우주적 생명력과 예술의 이상을 동시에 그려낸다.

김명진 작가의 ‘몽유산수'는 달배를 함께 탄 소녀와 친구들이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같은 곳을 바라보며 이야기하고, 관람자는 그 따뜻한 대화 속에서 감정을 되새기고 공감하게 된다. 특히 전통 산수화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몽유산수’는 감성과 사유가 공존하는 이상향으로 관객을 이끈다.

햇살과 달빛은 같은 하늘 아래, 서로 다른 시간에 빛나지만 결국 하나의 하루를 완성하듯, 두 작가의 작품 또한 각자의 언어로 삶과 예술의 근원을 탐색하면서도 서로에게 다정한 공명을 이룬다.

이 전시는, 찬란한 햇살처럼 생명력 넘치는 빛의 흐름과, 조용한 달빛 아래 속삭이는 감정의 이야기들이 어우러진, 하나의 시詩 같은 여정이다. 이 여정의 빛이 당신 마음속에 잔잔히 스며들어, 오래도록 따뜻한 여운으로 남기를 바란다.



작가노트/

-김명진

내 작업은 꿈과 현실의 경계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달의 정원' 시리즈는 상상력과 감정의 교차점에서 태어난 작품으로, 각 캐릭터는 나의 내면 세계를 반영한다. 소녀는 순수한 꿈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고양이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성격을, 토끼는 순진함과 호기심을 상징한다. 이들은 모두 달이라는 신비로운 공간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각자의 감정을 표현한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우리는 불안과 고립을 느끼기 쉽다. 특히 디지털 세계에서의 소통 부족과 환경 문제는 우리에게 큰 도전과제를 안겨준다. 달은 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동시에 멀게 느껴지는 존재로, 그곳에서의 대화는 현실에서의 갈등과 욕망을 뒤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험하게 한다. 이러한 상징적 요소들은 현대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며, 관객이 각자의 감정을 되새기고 공감할 수 있도록 이끈다.

나는 예술이 사회와 대화하는 중요한 매개체라고 믿으며, 이 작업이 누군가에게 작은 울림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결국, 우리는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이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몽유산수는 산수화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동양의 미학과 현대적 감성을 결합한 독창적인 세계를 제시한다. 몽유산수는 현실 세계를 초월한 상상 속의 이상향을 표현한 것으로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인간의 감정과 내면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관람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자 하였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우리는 종종 고립감과 불안에 시달린다. 이 작품이 그런 감정들을 공유하고, 서로의 연결을 느낄 수 있는 매개체가 되기를 희망한다. 예술은 소통의 도구이며, 나는 내 작업이 누군가에게 작은 울림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조상은
작가는 삶의 여정 가운데 마주하는 빛의 흐름과 역동적인 운동성을 주제로 ‘사유의 빛’에 관한 회화 연구를 전개한다. 작품에서 역동적인 빛의 이미지는 삶 가운데 생성과 소멸을 지속하는 존재론적인 운동에 의해 경이로운 생명의 이미지로 탄생된다. 즉, 삶과 예술을 가로지르는 빛의 흐름은 작가의 내부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는 내면의 운동에 의해 화면 위에 역동적인 생성의 예술로 표출된다.  이를 토대로 작가의 예술 세계는 찬란한 빛의 태동으로부터 영원한 미래로 나아가는 생명의 여정을 동적 이미지로 구체화하여‘빛과 생명이 흐르는 세계’를 형상화한다. 

표현의 측면에서 빛과 운동성에 대한 회화 연구는 2차원의 화면 안에 운동하는 상태의 이미지가 응집되는 과정으로 전개되며, 작품은 긴 시간 동안 다층적으로 물감을 쌓아올리는 중첩 과정을 통해 밀도 높은 작품으로 완성 된다. 그 과정에서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경계에 있는 풍경과 대기에 흩뿌려진 빛의 흔적을 역동적인 힘의 표현으로 담아낸다. 특히 창작의 과정에서 색채의 표현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고 교차되는 물감의 궤적에 의해 거대한 캔버스의 표면 안에 용해되면서 운동성에 대한 표현 연구를 심화해 간다. 이처럼 순간적인 빛의 이미지와 그 운동성에 관한 힘의 재생은 대상의 추상작용에 의해 끊임없이 동적 이미지로 탄생되고 변모하며, 이를 통해 21세기에 새로운 회화의 이미지를 제시하면서 미술사적인 의의를 발견해 간다. 이와 같이 작가의 예술 세계에서 빛에 관한 인식은 새로운 이미지를 종합하고 현시하는 과정으로 나아가는 동시에 예술적인 이상을 실현하는 생성의 예술로 전개된다.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그림을 그려 온 작가에게 예술의 공간은 일상 가운데 마주하는 빛의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삶에서부터 우주적인 세계를 성찰하는 사유의 공간이다. 이처럼 삶과 예술의 여정 가운데 강렬하게 흐르는 빛의 생명력을 매일 응시하고 성찰하면서 창조의 빛으로 확장되는 예술 세계를 희망한다.



작가약력/

-김명진 주요 약력

중앙대학교 서양화학과 졸업/공예과 부전공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학과 졸업

 

개인전11회

2024 달의 정원 (ARTBODA)

2023 행복을찾아서(갤러리 탐)

2022 Dremer:우리는 모두 별이다 (인영 아트센터)

 

단체전 40여회

2025 앤갤러리 기획 “봄의여신” (대백프라자 갤러리)

2025 모아프 라이징스타 (아트필드갤러리)

2025 소담한 선물전(혜화아트센터)

2024 준비된사기극(평택 남부문예회관)

2024 짤아트페어(갤러리더키)

2024 100인100전(비움갤러리)

2024 아름다운 동행展(평택소방서)

2024 Dear U (비오케이아트센터)

2024 똑!똑!똑! (대전 롯데백화점)

2024 여기서,카덴차(안성스타필드 작은 미술관)

2024 김명진&김옥희 2인전(갤러리코코모)

2024 새해소원 선물전(T2 갤러리)

2024 10,균형과 조화(갤러리 엠)

2024 28인 28전(비움갤러리)

2023 소사벌현대작가회(평택 남부문예회관)

2023 일상 속 미적 순간의 재구성(갤러리 더문)

2023 모든 빛이 사라진 후에도(갤러리 자유)

2023 빛과 색의 시간 (갤러리 더문)

2023 소사벌국제아트쇼(평택호예술관)

2023 카르티즘페스티벌(마루아트센터)

2023 가을에게(갤러리 엠)

2023 Long Vacation(아트클로버)

2023 가을동화(비움갤러리,서울)

2023 합격기원전시 (자인갤러리)

2023 여름선물 28전(비움갤러리)

2023 비움 신진작가공모전시(비움갤러리)

2023 아트오일장 (아미디 갤러리 한남)

2023 김다진&김명진 2인전(크링갤러리)

2023 기묘한이야기(아트보다 갤러리)

2023 새해특별 선물전(롯데백화점-일산)

 

수상

2002 전국 미술대전(특선)

2022 부산국제미술대전(특선)

2024 아름다운동행 표창

 

주요작품소장처

케이옥션, 평택시 문화재단, 활기찬신경외과& 개인소장 다수        

  


-조상은 주요 약력

2019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박사 졸업

201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석사 졸업

2007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회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4 초대전, 빛과 바람의 길, 미앤갤러리, 서울

2024 초대전, 빛이 흐르는 세계(The World Where Light Flows), 갤러리 칠이공구, 수원

2024 초대전, 마음의 빛, 아트보다, 서울

2023 초대전, 빛의 사유(思惟), 아트컨티뉴 갤러리, 대전

2023 초대전, 소우주-세계를 품은 빛, 갤러리 마무, 하남

2022 초대전, 하루의 빛과 사랑으로, 갤러리 미르, 대구

2022 기나긴 삶은 빛이 되어: 생명의 탄생, 성장, 영원의 세계, CICA 미술관, 김포

2021 끝없는 빛의 여정(Endless Journey of Lights), 레드엘 갤러리, 대전

2018 빛의 공간-Flowing Star, 갤러리 탐, 서울

2018 초대전, 우주-Journey of Light, Somerset Palace Seoul, 서울

2017 박사학위 청구전, 흐름의 공간(Space of Flow),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그 외 9회)

 

주요 그룹전

2024 초대전, 나의 아름다운 정원 Mon beau Jardin(2인전), 포브 갤러리, 서울

2024 초대전, 나의 우주 My Universe(2인전), 갤러리탐(탐앤탐스 블랙 압구정점), 서울

2023 초대전, 삼성물산×플리옥션 기획전, 삼성 래미안 아트갤러리, 서울

2023 초대전, Rising(2인전), 아트보다, 서울

2022 초대전, FLEA;GROUND,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

2022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였다, 하랑 갤러리, 서울

2021 One to Two, Adm 갤러리, 서울

2021 초대전, 더 아트 서울: 한 채, 돈의문박물관마을, 서울

2021 은평문화재단 문화예술시장 활성화 사업: 예술시장 다다, 은평문화예술회관 숲속극장, 서울

2021 Step-by-Step, 아트온행거 작가 미술장터, 광교 앨리웨이 어라운드라이프동, 수원

2021 Gangnam Start-up&Art Festival, ADM 갤러리&TIPS TOWN S2, 서울

2021 서울시 신진미술인 지원사업: 모두에게 멋진 날들(Wonderful days for all), 서울자유시민대학, 서울

2021 1st 아트 New 모어, 갤러리 아트컨티뉴, 서울

2020 초대전, 한여름밤의 꿈, 차아뜨 갤러리, 양주

2018 Seoul New Face Art, 뚝섬 전망문화콤플렉스 자벌레, 서울

2018 Project Zebra, 예술공간 봄, 수원

2018 육인의 육호(Six to Six), 갤러리 815, 서울

2018 우수작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7 초대전, 공감의 온도, 마음을 나누다,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Space U, 성남

2016 Korean Wunderkammer, Fondazione Luciana Matalon, Milano, Italy

2016 Coevolution- 공진화, 최정아 갤러리, 서울

2016 서울미술대상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미술관, 서울

2016 초대전, 서울모던아트쇼: Young Artist Wall 40m,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5 겨울이야기, 경민 현대미술관, 의정부

2015 CICA 현대사진전, CICA 미술관, 김포

2015 아시아 현대미술 청년작가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주요 수상

2007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수석상(수석 졸업), 세종대학교, 서울

 

작품 소장

인천미술은행, 서울특별시청,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세종대학교, 기업&갤러리&개인 소장 다수



Artworks

Installation Views